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꾸준히 공부중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꾸준히 공부중

검색하기 폼
  • 분류 전체보기 (17)
    • 스프링 (6)
    • JPA (2)
    • Observability (1)
    • 컨테이너 (2)
    • Linux (3)
    • 트러블 슈팅 (1)
    • 교육 (1)
    • 회고 및 단상 (1)
  • 방명록

rootless (1)
[linux] 일반 유저로 1024 미만의 포트 사용하기

지난 글에 이어서 일반 유저로 1024 미만의 포트(== privileged 포트)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. 결과부터 얘기하면 커널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예정이다. 1. 기본 설정으로 일반 유저가 privileged 포트를 사용할 경우 먼저 nginx 컨테이너의 포트를 privileged 포트 중 하나에 바인딩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아보자. 테스트 환경은 Ubuntu 22.04.4 LTS이다. 먼저 nginx 이미지를 받고 $ podman pull docker.io/ngin privileged 포트 중 하나인 443 포트에 컨테이너의 80번 포트를 바인딩하면 $ podman run --rm -d --name nginx -p 443:80 docker.io/library..

Linux 2024. 4. 21. 10:19
이전 1 다음
이전 다음

Blog is 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Tistory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